

YouTube
Instagram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글

포근한 봄 날씨가 반가운 것도 잠시, 미세먼지가 다시 기승을 부리는 요즘인데요~ 실외 공기가 나쁜 만큼 실내 공기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환기가 어려워 갇혀있는 공기들로 가득하기 때문이죠. 오늘은 실내 공기를 똑똑하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미세먼지로 인해 창문을 꽉 닫고, 환기를 꺼려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오히려 환기를 시키지 않으면 실내 공기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이때 대기가 정체되어 있는 밤이나 새벽보다는 가급적 낮 시간을 이용해 환기하는 것이 좋은데요! 하루 세 번, 10분 이상 환기하는 것만으로도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답니다. 환기 중 집안으로 유입된 먼지..
신발은 땀과 습기로 인해 각종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데요! 요즘처럼 따뜻한 날씨에는 발에 땀도 많이 나기 때문에 발 냄새를 예방할 수 있도록 신발을 자주 세탁해주는 것이 좋겠죠~ 신발은 재질에 따라 세탁법이 각기 다른데, 오늘은 집에서도 따라 해보실 수 있도록 종류 별 신발 세탁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게요! 캔버스 재질의 신발은 얼룩이 잘 묻지만, 다른 신발에 비해 세탁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세탁 시에는 먼저, 신발이 잠길 만한 크기의 대야에 따뜻한 물을 받고 중성세제를 풀어주세요. 다음으로는 신발에서 끈을 분리한 후 물에 넣고 흔들어주시면 된답니다. 20~30분 가량 담가 때를 불린 후, 깨끗한 물로 오염 부위를 헹궈주세요. 만약 오염이 남아있는 부분이 있다면 수건이나, 솔 등으로 살살 ..
2020년이 시작되자 마자 유명 연예인의 스마트폰이 해킹되어 논란이 일었었죠~ 연예인의 스마트폰은 도난 당하거나 분실하지 않았는데도 개인적인 대화 내용들이 유출되고 말았는데요. 과연 어떻게 유출된 사고이며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요즘 나오는 대부분 스마트폰은 제조사, 통신사 등에서 ‘클라우드’라는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게 초기에 설정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클라우드 서비스는 단말기 분실이나 스마트폰 자체 저장공간 부족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중요 데이터를 외부 인터넷 저장소에 별도 보관하는 것으로, 피해 연예인은 문자, SNS등 사용내역이 스마트폰 제조사(S사) 클라우드(인터넷저장소)에 자동 저장이 되도록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사건 초기 보안전문가들은 해..
설날과 추석 같은 명절에는 오랜만에 많은 가족들이 모여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덕담을 주고 받기도 하죠~ 이렇게 즐거운 명절을 보내고 나서 남아버린 음식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정성을 들여 만든 음식인데 그냥 버리자니 아깝고, 또 갑자기 명절 음식이 먹고 싶어질 때가 있기도 하죠. 오늘은 명절음식을 맛있게 보관하는 방법과 함께 남은 음식을 활용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과 절편 등을 먹죠~ 식구들이랑 함께 먹으려고 대량으로 가래떡이나 송편 등을 구매했다가 남아서 냉동실로 직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러나 바로 냉동실에 보관하면 해동 시켰을 때 흐물흐물해지거나, 뭉친 상태에서 녹으면 모양이 갈라져버리게 되죠. 떡을 처음 샀을..
누구나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1월 1일 새해를 맞이 하게 되죠! 하지만 우리는 이날을 설날이라고 하지 않고 음력 1월 1일을 설이라 정해 명절로 지내고 있는데요. 왜 ‘설’이라고 부르는지 한번쯤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우리 고유의 명절인 ‘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옛기록들을 비추어 볼 때 아주 오래전부터 지내온 명절이라는걸 알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설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발견되며 백제에서는 261년에 설맞이 행사를, 신라에서는 651년 왕이 조원전에 나와 백관들의 새해 축하를 받았다고 해요. 현재와 같은 가족중심의 설은 『고려사(高麗史)』에 설날[元正]은 상원(上元), 상사(上巳),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秋夕..
강추위로 인해 이불 밖으로 나가기도 힘든 요즘! 난방을 끄고 지내자니 너무 춥고, 틀고 지내자니 도시가스 요금이나 기름값 걱정이 앞서는데요~ 날이 추워질수록 부담될 수 밖에 없는 난방비! 오늘은 생활 속에서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는 팁을 알아볼게요. ^^ 집에 방이 2개 이상이라면 보통 각 방에 공급되는 난방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있는데요~ 서재나 다용도실처럼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가두는 것이 좋아요. 보일러가 가열해야 하는 난방수 유량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난방비 절감을 할 수 있답니다. 단, 방이 여러 개인데 한 방의 밸브만 열어두면 압력이 상승해 보일러가 망가질 수 있어요. 따라서 밸브는 최소 2개 이상 열어두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해주세요~ 또한, 너무 오랫동안 밸브를 잠가두면 ..
농경생활을 하던 우리나라에서는 계절 변화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한 해를 24절기로 나누어 생활했는데요~ 농업의 비중이 줄어든 현대에서도, 24절기는 아직 우리 생활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절기마다 챙겨 먹는 음식도 있고, 뉴스에서는 절기의 변화에 따라 예상 날씨와 온도를 소개하기도 하죠. 겨울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입동을 맞아 부쩍 추워진 오늘! 24절기 중 겨울에 해당되는 절기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함께 알아볼까요? 19번째 절기인 입동은 가을이 끝나고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며 양력으로 11월 7, 8일 경을 말해요. 입동을 기준으로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한 준비가 시작되죠. 김장 담그기는 입동의 대표적인 행사인데요~ 김치는 채소와 식량을 구하기 어려운 겨울철 필수식량이었기 때문이죠..
어린이들의 대통령이라고 불리는 뽀로로가 순우리말 이라는 것, 알고 계셨나요? 뽀로로는 “종종걸음으로 재게 움직이는 모양”이라는 뜻이라고 하는데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하여 순우리말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할게요! 순우리말이란 우리말 중에서 한국에서 스스로 만들어진(고유어) 말을 일컫는데요. 우리말 중에서는 한자어, 외래어 등이 포함된답니다. 외래어 같은데 예쁜 순우리말들에 대해 알아볼게요! ✔ 시나브로 :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 온새미로 : 언제나 변함 없이, 자연 그대로 ✔ 안다미로 : 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 라온 : 즐거운 ✔ 제나 : 자신 ✔ 라온제나 : 즐거운 나 주로 유음(ㄹ)이 들어간 단어들이 외래어처럼 느껴지는 것 같은데요~ 이 외에도 우리가 쓰는 단어중에 먹자..
여름철이면 더욱 심해지는 화장실의 하수구 냄새! 매일 사용해야 하는 화장실에서, 계속 악취가 난다면 무척 불쾌하죠. 분명 깨끗하게 닦은 것 같은데, 돌아서자마자 바로 하수구에서 냄새가 올라오기도 한다면? 오늘 소개해드릴 여름철 화장실 하수구 냄새 말끔하게 제거하는 팁을 확인해보세요! 친환경 세제라 불리는 베이킹소다! 베이킹소다는 청소와 악취 제거를 비롯해 소독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답니다. 먼저, 하수구에 베이킹소다를 뿌린 후 그 위에 식초를 부어주세요. 이때 거품이 일어나게 되는데요~ 10분 정도 기다렸다 거품이 가라앉으면, 따뜻한 물을 부어주면 하수구 냄새를 제거할 수 있죠! 베이킹소다가 집에 없다면! 식초와 물 만으로도 하수구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답니다. 식초는 강력한 산성이기 때문에 하수구 안의 미..
장마철에는 섬유유연제를 가득 넣고 빨래를 해도 의류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참 많은데요~ 또, 외출 후 물에 흠뻑 젖은 신발을 잘못 말리거나 보관하는 경우에도 불쾌한 냄새가 나곤 하죠. 그 이유는 습도가 높으면 섬유 속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랍니다. 오늘은 퀴퀴한 냄새를 방지하는 장마철 세탁 및 의류 관리법을 소개해드릴게요. ^^ ① 세탁조 청소하기 세제나 섬유유연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세탁조 안쪽에 찌꺼기가 쌓여 오염되기 쉬운데요~ 이런 경우, 세탁이 깨끗하게 되지 않고 세균이 번식하기 더 쉬워져서 의류에서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게 된답니다. 때문에 장마철에는 평소보다 더 자주 세탁조를 청소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물에 베이킹소다 또는 구연산을 풀어 청소해주면 말끔하게 오염물질을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