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Instagram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글

설날과 추석 같은 명절에는 오랜만에 많은 가족들이 모여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덕담을 주고 받기도 하죠~ 이렇게 즐거운 명절을 보내고 나서 남아버린 음식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정성을 들여 만든 음식인데 그냥 버리자니 아깝고, 또 갑자기 명절 음식이 먹고 싶어질 때가 있기도 하죠. 오늘은 명절음식을 맛있게 보관하는 방법과 함께 남은 음식을 활용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과 절편 등을 먹죠~ 식구들이랑 함께 먹으려고 대량으로 가래떡이나 송편 등을 구매했다가 남아서 냉동실로 직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러나 바로 냉동실에 보관하면 해동 시켰을 때 흐물흐물해지거나, 뭉친 상태에서 녹으면 모양이 갈라져버리게 되죠. 떡을 처음 샀을..
누구나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1월 1일 새해를 맞이 하게 되죠! 하지만 우리는 이날을 설날이라고 하지 않고 음력 1월 1일을 설이라 정해 명절로 지내고 있는데요. 왜 ‘설’이라고 부르는지 한번쯤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우리 고유의 명절인 ‘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옛기록들을 비추어 볼 때 아주 오래전부터 지내온 명절이라는걸 알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설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발견되며 백제에서는 261년에 설맞이 행사를, 신라에서는 651년 왕이 조원전에 나와 백관들의 새해 축하를 받았다고 해요. 현재와 같은 가족중심의 설은 『고려사(高麗史)』에 설날[元正]은 상원(上元), 상사(上巳),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秋夕..
얼마 남지 않은 민속 대 명절 설! 설날엔 새로운 한 해를 맞아 공경과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웃어른께 세배를 하죠. 하지만 막상 세배를 하려고 하면, 손과 시선의 위치가 늘 헷갈리는데요! 이번 설부터는 자신 있게 세배할 수 있도록 현대해상이 올바른 세배 법을 알려드릴게요~^^ 세배를 할 때 남자와 여자의 손 위치가 다르다는 점은 다들 잘 알고 계실텐데요!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해야 하죠~그럼, 한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까요? 세배는 손을 모으는 공수 인사부터 시작이랍니다. 이때 여자는 오른손,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여 가지런히 모아 포개줍니다. 엄지를 엇갈려 살짝 깍지를 끼어 모은 손을 배꼽 위에 놓고 허리를 숙여 세배를 시작합니다. 남자 세배법 01. 왼손이 위로 올라가게 포개 잡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