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Instagram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글

오늘은 미리 알아 두면 유용한 2024년 새롭게 달라지는 주요 지원 정책을 소개해 드릴게요! 첫만남이용권 지원액 인상 최근 우리나라는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그래서 정부에서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어요. 그 목적으로 2024년부터는 둘째 이상 아동에게 지급되는 ‘첫만남이용권’ 지원액이 인상된답니다. 기존에는 출생 순서와 상관없이 모두 200만 원을 지급했지만, 내년부터 태어나는 둘째 이상 아동은 300만 원을 받게 돼요. 첫만남 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로 복지로나 정부24,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답니다. 또, 만 0세~1세 아이를 양육하는 가구에 지급하는 지원금인 ‘부모급여’ 역시 만 0세 아동 가정에 월 100만 원, 만 1세 아동..
어느덧 밝아온 ‘검은 토끼의 해’ 2023년! 여러분은 새해를 맞이해 어떤 변화를 준비하고 있나요? 올해부터 새롭게 달라지는 정책들이 무척 많다고 합니다. 그럼, 우리 일상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어떤 정책들은 어떤 게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행정기본법 및 민법 개정에 따라오는 6월 28일부터 사법 관계와 행정 분야에서 ‘만 나이’로 표시방식이 통일됩니다! 앞으로는 특별한 규칙이 없다면 법령이나 계약서, 공문서 등에 표시되는 나이는 만 나이로 해석하는 것이 원칙인데요. 그동안 헷갈렸던 만 나이와 연 나이, 이제는 만 나이로 통일되어 혼동이 줄어들 것 같네요! 여러분의 교복은 어떤 무늬였나요? 올해부터 교복에 체크무늬가 사라진다고 하는데요. 해외의 유명 명품브랜드인 버버리가 교복의 체크무늬가 상표권을 침..
누구나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1월 1일 새해를 맞이 하게 되죠! 하지만 우리는 이날을 설날이라고 하지 않고 음력 1월 1일을 설이라 정해 명절로 지내고 있는데요. 왜 ‘설’이라고 부르는지 한번쯤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우리 고유의 명절인 ‘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옛기록들을 비추어 볼 때 아주 오래전부터 지내온 명절이라는걸 알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설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발견되며 백제에서는 261년에 설맞이 행사를, 신라에서는 651년 왕이 조원전에 나와 백관들의 새해 축하를 받았다고 해요. 현재와 같은 가족중심의 설은 『고려사(高麗史)』에 설날[元正]은 상원(上元), 상사(上巳),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秋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