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_btn

새롭게 추천하는 글

more_btn_ico

많이 본 인기

more_btn_ico
꿀팁.zip/트렌드 따라잡기
내 월급에 무슨일이? 건강보험료 간단하게 알아보기!
2014. 5. 22. 08:30


안녕하세요. 현대해상 블로그 지기 하이현입니다. 회사가 너무 다니기 싫다가도 한 달에 단 한 번 이러한 마음을 싹~ 가시게해주는 것! 바로 월급이죠^^;;(아! 이번 달 월급날도 얼마 안 남았네요 +_+ 매번 스치듯 안녕이지만.. 그래도..불끈!)


여러분은 월급을 똑똑하게 관리하고 계신가요?저도 매번 잘 관리하려고 신경을 쓰고는 있지만 생각보다 복잡한 내용들이 워낙 많더라구요^^;;;  그러고보니 지난 달은 건강보험료 정산이 있는 달이어서 평소보다 많은 세금 때문에 뭔가 허전한 기분이 들기도 했었죠. 그래서 이 참에 저처럼 지난 달 월급을 보고 의아해 했던 분들에게도 도움을 드리고자! 건강보험료는 도대체 왜 내야 되고 어떻게 적용되는 것인지 아주 기초적인 부분들을 하이현이 알아봤습니다!



건강보험료가 뭔가요?


우선 건강보험료가 무엇인지부터 제대로 알아야겠지요? ^^ 건강보험료는 일상생활을 할 때 갑작스러운 사고나 병이 걸리는 경우에 일시에 고액의 진료비가 부과되어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보장제도인데요. 보험원리에 의거하여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를 낸 것을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 운영을 하다가 국민들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의 위험을 분담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갑자기 4월달에 건강보험료를 정산하게 되는 걸까요?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우선 부과하고 다음해 3월에 확정된 소득을 기준으로 신고를 받아 보험료를 다시 선정하여, 이미 부과된 2013년도의 보험료 외의 차액을 정산하기 때문에 4월에 정산을 하게 됩니다. 이때 그 전년도에 비해 연봉이 오른 경우에는 추가로 납부를 하게 되고, 반대로 연봉이 줄어든 경우에는 돌려받게 되는 거죠(ㅠㅠ)! 2014년에는 전체 직장인 1,229만명 중 61.9%인 761만명이 월급에서 평균 12만 6000원의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냈다고 합니다. 지난 달에 건강보험료를 많이내서 우울해 하셨던 분들은 사실 그 만큼 연봉이 많이 올랐다는 뜻이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


본인의 건강보험료 정산 금액이 궁금할 때는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필요)


1. 국민건강보험 사이트 '민원신청' 메뉴

2.  조회/발급 코너

3. 개인별 연말정산내역 조회

4. 상세조회 

자신의 정산 내역 확인해보기! 클릭!


그리고 실제로 건강보험이 얼마나 도움이 되겠어라는 생각을 할 수 있을텐데요. 건강보험의 혜택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지난해 전체 세대당 월 보험료가 9만 2,506원인데 비해 급여비는 15만 9,345원으로 약 1.7배 정도 혜택을 본것으로 집계 됐다고 하더라구요. 쉽게 말해 9만원을 내고 16만원 정도의 혜택을 받았다고 할 수 있네요! 물론 아프지 않은 게 제일 좋겠지만 혜택을 받는 면도 많다고 하니 다행이네요+_+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혜택으로 무료건강검진을 2년에 1회이상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 건강검진 뿐만 아니라 영유아 건강검진, 암검사도 받을 수 있답니다^^


하지만 병원에서 받는 모든 치료가 건강검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닌데요. 미용 및 성형에 관련된 진료예방진료 등국민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꼭 참고하세요!



건강보험료 추가 납부 줄이는 법! 


갑작스럽게 집계된 건강보험료가 부담스러울 경우에는 분할납부제도를 활용하면 보험료 정산의 부담을 조금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금액에 따라 최대 10회에 나눠 분납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애초에 보험료 정산액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요,  임금이 변동될 때마다 변경된 임금을 건강보험공단에 신고하면 보험료 정산에 바로 반영이 되기 때문에 차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매달 받는 월급이지만 이것 저것 따지고 보면 참 어려운 부분도 많은 것 같아요 @_@ 그렇다고 아무 생각없이 받을 수는 없잖아욧! 올해는 건강보험료 정산에 대해 잘 몰랐지만 이렇게 조금씩이라도 알아가면서 내년에는 좀 더 똑똑하게 정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겠어요~ 여러분 모두 부자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