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Instagram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글

“
오랜만에 치과에 방문하였는데,
진료 결과 충치가 발견되었어요.
과거에 치료를 받았던 치아여서 괜찮을 줄 알았는데
해당 부위에 충치가 다시 생겼다고 해서 조금 당황스러웠어요…
”
치료한 치아에도 충치가 또 생길 수 있는지, 충치가 있으면 무조건 다 치료해야 하는지 등! 충치 관련 다양한 궁금증들을 가지고 계실 텐데요. 오늘은 다양한 Q&A를 살펴보며 충치 관련 상식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충치는 통증이 생겼을 때 치료받기 보단,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 받는 것이 중요해요.
충치 초기 단계에는 우식 부위도 작고 통증도 거의 없기 때문에 충치를 발견하기 어려운데요. 이때 통증이 없다고 해서 치료를 미루면 안 됩니다.
통증이 생겼을 때는, 충치 부위가 많이 넓어졌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인데요. 또한, 충치가 신경까지 내려간 경우 신경치료를 받아야 할 수 있어요. 따라서 치아에 통증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치과에 방문하여 검진 받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일반적인 칫솔질로 관리할 수 없는 충치나, 치아에 구멍이 형성되어 세균이 살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 경우에는 곧바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는데요!
이와는 반대로 매우 초기 단계이거나, 진행이 정지한 정지 우식의 경우에는 당장 치료하지 않아도 된답니다. 이때, 정지 우식의 경우 이미 충치가 진행된 곳이기 때문에 다른 치아보다 구강 청결 관리를 철저하게 해주어야겠죠?
치과에 방문하였는데, 옛날에 치료했던 치아를 다시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충치 치료 시 사용한 재료들이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에 충치 치료를 받았더라도 충치는 다시 생길 수 있어요. 재료가 떨어지거나 깨진 경우, 치아 관리에 소홀할 경우 세균이 침입해 충치가 다시 발생할 수 있답니다.
정기적으로 치과에 방문하여 치료 부위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치아에 검은 부분이 보인다고 해서 모두 충치인 것은 아닌데요~ 커피나 차, 음식 등으로 침착 되었을 때도 검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죠. 충치 초기에는 오히려 하얀색 반점 형태로 나타나다가 점차 갈색, 검은 반점으로 색이 변한답니다.
평소에 치아 관리를 잘 했는데, 충치가 생기는 분들 있죠. 치아 표면의 파인 부분이 선천적으로 깊은 경우 이 사이로 음식물이 잘 끼면서 충치가 발생하기 쉬워요.
또한, 치아를 감싸 충치를 방지하는 법랑질 강도가 유전적으로 약한 경우에도 충치가 잘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더불어 침 분비량이 적은 분들의 경우에도 주의해야 하는데요~ 세침은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음식이 이에 들러붙지 않게 해주기 때문에 침 분비량이 적은 경우 충치가 잘 생길 수 있어요.
지금까지 충치 관련 다양한 Q&A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을 참고하시어, 충치를 예방하고 치아 건강을 지켜보세요.^^
더불어, 충치가 생겨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현대해상 퍼펙트치아보험과 함께라면 든든하게 보장받을 수 있는데요~ 현대해상 퍼펙트치아보험으로 간단한 스케일링부터 치아보존치료, 보철치료는 물론 큰 돈 드는 임플란트까지 든든하고 다양하게 보상 받아보세요.
ㆍ보험계약 체결전에 반드시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ㆍ기존에 체결했던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계약을 체결시 인수가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으며 보장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ㆍ이 보험계약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한도는 본 보험회사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해약환급금 (또는 만기시 보험금이나 사고보험금)에 기타 지급금을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이며 5천만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하지 않습니다.(단, 보험계약자 및 보험료 납부자가 법인이면 보호하지 않습니다.)
ㆍ본 컨텐츠의 상품관련 내용은 추후 해당 상품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ㆍ지급한도, 면책사항 등에 따라 보험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ㆍ갱신형 특약가입의 경우, 갱신 시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인 확인필 제 20208078호 (승인일자 : 2020.11.02)
술도 안 먹는데, 내가 지방간이라고? (0) | 2020.11.27 |
---|---|
건강과 맛 모두 챙김! 에어프라이어로 만드는 간식 (0) | 2020.11.18 |
찬바람에 센치해지는 요즘! 계절성 우울증 주의 (0) | 2020.11.13 |
마그네슘, 증상에 따라 섭취해야 하는 종류가 다르다?! (0) | 2020.10.30 |
자다가 호흡이 멈추는 수면 무호흡증이란? (0) | 2020.10.16 |
만성질환자 주목! 가을철 안전 등산법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