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_btn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꿀팁.zip/내 차 관리법
여름철 자동차 오버히트 원인과 대처법은?
2020. 7. 13. 10:00


여름철 자동차 주행 시 꼭 주의해야 할 것이 있죠~ 바로 엔진이 과열되는 현상인 자동차 오버히트인데요! 주행 중 오버히트 현상이 생기면 위험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원인과 대처법에 대해 잘 숙지해두는 것이 좋답니다.


오늘은 자동차 오버히트 현상의 원인과 대처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자동차 엔진이 과열된 상태를 오버히트(overheat)라고 하는데요. 엔진의 냉각장치에서 열을 식히는 양보다 연료가 연소하면서 방열되는 열이 많을 경우, 오버히트가 발생한답니다.


이때, 엔진룸 내부 온도는 적정온도인 80~90도를 훌쩍 넘어 엔진이 과열되면서, 연료 내 기포가 형성되어 베이퍼 로크(vapor lock)’ 현상이 나타날 수 있죠.


*베이퍼 로크(vapor lock) : 브레이크가 제 기능을 못하는 현상


오버히트 증상은 운행 중 계기판의 냉각수 온도 게이지를 통해 판별할 수 있는데요! 계기판의 온도계가 적색 눈금 H를 장시간 가리키거나, 보닛에서 뜨거운 김이 올라온다면 오버히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답니다.



1. 냉각수가 부족할 때


흔히 냉각수가 부족한 경우 엔진이 쉽게 과열되는데요. 단순히 냉각수가 부족한 경우라면 부동액과 반반씩 섞어 보충해주면 되지만, 차량 밑으로 냉각수가 누수 되었다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봐야 한답니다.


2. 냉각 부품에 문제가 생겼을 때


또한, 냉각수 순환을 조절하는 수온조절기와 냉각수를 펌핑하여 엔진으로 보내는 워터 펌프에 문제가 생긴다면 엔진 내 온도 조절 기능을 상실하게 된답니다. 라디에이터 안의 냉각수 온도를 낮추는 냉각팬 역시 주기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해요.


참고로 급가속/급정거를 자주 하는 운전 습관 역시 엔진 과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답니다.



주행 중 오버히트 현상이 발생했다면 먼저 안전하고 그늘진 곳으로 차를 이동시켜주세요. 바로 시동을 끄면 냉각시스템이 중단되어 오히려 열이 오를 수 있으니, 열이 어느 정도 식은 후 시동을 꺼야 한답니다. 이때 비상등을 켜서 주행 중인 운전자에게 자신의 차량의 위치와,  문제 상황을 알려 만약의 사고를 예방해야겠죠!


엔진이 완전히 식었다면 시동을 다시 보닛을 열어 엔진룸 내부를 통풍시켜주세요. 계기판의 냉각수 온도 게이지가 정상 범위에 위치할 때까지 기다린 후 냉각수의 양과 냉각팬도 점검해주시고요.


만약, 엔진 과열로 라디에이터가 파손되었다면 기존 냉각수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으니 정비소에 연락해 지원을 요청해야 한답니다.



① 주기적으로 냉각 시스템을 점검 하기


냉각수는 부족하지 않게 미리 채워줘야 하는데요~ 보통 냉각수는 2년에 한 번 교체해도 되지만 누수나 오염 상태에 따라 교체 시기를 조절해야 한답니다. 외 워터 펌프, 구동 벨트, 라디에이터 등을 정비소에서 꼼꼼하게 점검 받아야 좋겠죠.


엔진오일 양 점검하기


엔진 오일의 양이 부족하면 엔진 구동에 무리가 와 오버히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오일 게이지를 보고 오일의 양을 점검해주세요.


주차 후 곧바로 시동 끄지 않기

 

주차 후에 곧바로 엔진 시동을 끄면 냉각팬과 워터 펌프가 냉각수를 충분히 순환시키지 못한답니다. 정차 후 어느 정도 시동을 켜 두었다가 꺼야 엔진의 열을 식혀주어 오버히트를 예방할 수 있어요.


올바른 운전 습관을 가지기


언덕, 오르막길 등에서 급하게 액셀을 밟거나 급하게 브레이크를 밟으면 엔진에 무리가 가게 . 엔진 과열로 이어지지 않도록 급가속/급정거하는 운전 습관은 고쳐주세요.



여름철 자동차 오버히트로 인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현대해상 하이카 자동차보험과 함께라면 안심할 수 있는데요~ 긴급 견인, 배터리 방전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현대해상 자동차보험은 365, 24시간 고장출동 서비스(해당 특약 가입 시)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오버히트의 원인과 대처법을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 참고하시어 현대해상과 함께 안전 운전하세요~



ㆍ보험계약 체결전에 반드시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ㆍ기존에 체결했던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계약을 체결시 인수가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으며 보장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ㆍ이 보험계약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한도는 본 보험회사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해약환급금 (또는 만기시 보험금이나 사고보험금)에 기타 지급금을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이며 5천만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하지 않습니다.(단, 보험계약자 및 보험료 납부자가 법인이면 보호하지 않습니다.) 

ㆍ본 컨텐츠의 상품관련 내용은 추후 해당 상품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ㆍ지급한도, 면책사항 등에 따라 보험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필 20205180 (승인일 : 2020.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