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_btn

새롭게 추천하는 글

more_btn_ico

많이 본 인기

more_btn_ico
꿀팁.zip/내 차 관리법
운전 왕초보를 위한 자동차 내부 버튼 총정리
2020. 3. 13. 10:00


자동차 내부에는 안전운전을 도와주는 수 많은 버튼들이 있는데요~ 초보 운전자 분들은 기본적인 기능만 활용하고, 이 외 버튼은 정확한 기능을 몰라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죠. 또 아직 운전에 익숙하지 않아 긴장하고 당황한 상태에서 자동차 내부 버튼 기능을 순간적으로 깜박할 수도 있고요!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자동차 내부 버튼과 각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가 발생하면 유리창에 하얀 김이 서릴 수 있는데요~ 초보 운전자 분들은 갑작스러운 상황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수 있죠.


유리창 김서림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방해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속히 제거해주어야 하는데요. 이 때 김서림 버튼을 누르면 편리하게 없앨 수 있답니다.


부채꼴 모양의 Front 버튼을 누르면 앞 유리에 바람이 가해지며 김서림을 제거해줍니다. 네모 모양의 Rear 버튼을 누르면 장착된 열선이 작동하며 유리의 김서림을 없애주죠!


겨울철이나 비가 내리는 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눈길이나 빗길과 같은 도로는 차량이 미끄러지기 쉬운데요~


바퀴가 헛도는 공회전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구동력을 제어해주는 것이 바로 트랙션 컨트롤 버튼이랍니다! 차량 미끄러짐 사고 방지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버튼이죠.^^



주차 공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부득이하게 이중주차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때, 평소처럼 변속레버를 P에 두고 주차하면 자동차가 밀리지 않아 다른 운전자들이 출차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죠. 그렇다고 변속레버를 N에 둔 채 시동을 끄면 경고음이 울리는 경우도 있어, 난감하실 텐데요!


이런 경우, 변속레버 옆에 위치한 시프트 버튼을 활용해주시면 되는데요! 시프트 버튼은 안전장치를 잠시 풀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변속레버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죠~


먼저 기어를 P에 둔 채 시동을 끄고, 시프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기어를 N에 놔주시면 된답니다. 다음으로 차가 잘 밀리는지 확인해주세요.^^


, 경사로에서는 자동차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평지에서만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계기판에는 운전 시 필요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죠~ 만약 야간운전 시, 계기판이 너무 어두워 잘 보이지 않는다면! 레오스탯 버튼을 활용해 계기판 조명 밝기를 조절해주시면 된답니다.


, 계기판 조명을 지나치게 밝게 설정하면 눈부심으로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자녀가 있는 분들이라면 차일드 버튼을 알아두셔야 하는데요~ 차일드 버튼은 뒷좌석에 탑승한 아이들이, 호기심이나 실수로 차 문을 여는 것을 방지해준답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뒷좌석에서 아무리 힘을 주어도 문이 열리지 않죠. 뒷좌석 문 쪽이나, 운전석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해보세요


더불어, 현대해상 하이카 자동차보험과 함께라면 만약의 사고에도 안심할 수 있는데요! 긴급 견인, 배터리 방전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현대해상 자동차보험은 365, 24시간 고장 출동 서비스(해당 특약 가입 시)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지금까지 초보 운전자 분들을 위해 자동차 내부 버튼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았는데요~ 차종 별로 버튼 여부 및 모양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꼭 참고해주세요.^^


그럼 오늘도 현대해상과 함께 안전 운전하세요!



ㆍ보험계약 체결전에 반드시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ㆍ기존에 체결했던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계약을 체결시 인수가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으며 보장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ㆍ이 보험계약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한도는 본 보험회사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해약환급금 (또는 만기시 보험금이나 사고보험금)에 기타 지급금을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이며 5천만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하지 않습니다.(단, 보험계약자 및 보험료 납부자가 법인이면 보호하지 않습니다.) 
ㆍ본 컨텐츠의 상품관련 내용은 추후 해당 상품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필 20201624 (승인일 : 202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