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Instagram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글

자동차 엔진룸 내부에는 엔진을 비롯하여 배터리, 퓨즈박스, 오일탱크 등 차량 주요 부품들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복잡하고 낯선 부품들로 가득한 엔진룸! 내 자동차임에도 불구하고 열어보는 것조차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다고 해요.
그러나, 안전 운전을 위해 엔진룸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주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오늘은 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자동차 엔진룸 셀프 점검 팁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엔진룸을 점검하기 전 먼저 차량을 경사지지 않은 평탄한 곳에 주차해주세요~ 이 때, 주행 후 곧바로 엔진룸을 열 경우 내부의 열기로 인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5~10분 정도 후에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또한 환기가 잘 되고, 인화 물질이 없는 장소에서 점검해주세요.^^
엔진룸 점검을 위해 가장 먼저, 엔진룸의 뚜껑인 보닛을 열어야겠죠~ 의외로 보닛 여는 방법을 모르는 분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아래 내용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① 보닛 개폐 레버 당기기
보닛 개폐 레버는 보통 운전석 페달 위쪽이나 계기판 왼쪽에 위치해 있는데요~ 레버를 잡아당기면 보닛이 열리는 소리가 나면서 엔진룸과 보닛 사이에 공간이 생긴답니다.
② 보닛 고정하기
벌어진 틈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 좌, 우로 움직여 지지대를 찾아주세요! 지지대를 잡고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밀면 보닛이 완전히 열린답니다. 마지막으로 지지대를 안쪽의 홈에 끼워 고정시켜주면 되는데요! 홈의 위치는 차종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자동으로 보닛이 고정되지 않는 차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차량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보닛을 고정해주셔야 해요~
엔진오일 점검 시에는 먼저 시동을 걸어 냉각수의 온도가 중간쯤 올 때까지 기다려주셔야 하는데요~ 냉각수 온도가 중간 정도 되었다면, 시동을 끄고 오일이 안정될 때까지 약 5분간 대기해주세요.
그 후에는 오일 레벨 게이지를 뽑아 양과 색상을 확인해주시면 되는데요! 오일이 레벨 게이지에 적혀있는 F(Full)와 L(Low) 사이에 있으면 정상이죠~
이 때, L 밑이라면 정비소를 방문하여 점검 받는 것이 좋으며 오일 색이 짙고 탁한 갈색이라면 교체가 상태랍니다.
워셔액은 엔진룸을 열지 않고도, 계기판의 경고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만약, 워셔액 경고등이 점등되어 보충이 필요한 상태라면 엔진룸을 열고 직접 넣어주시면 되죠.
엔진룸 내부 워셔액 주입구 뚜껑에는 분수처럼 물줄기가 솟아오르는 그림이 그려져 있으므로, 해당 그림을 확인하여 다른 오일 뚜껑과 구분해주시면 된답니다.
다만 차량에 따라 전면 유리 워셔액, 후면 유리 워셔액 통이 따로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입 전 확인해주세요!
엔진의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 냉각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의 냉각수는 매우 뜨겁기 때문에 시동을 끈 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해요. 엔진이 충분히 식은 상태에서 두꺼운 천이나 목장갑을 착용한 후 조심스럽게 열어주시면 된답니다.
냉각수는 차량 앞쪽 라디에이터 캡을 열었을 때, 캡의 윗부분까지 가득 차 있는지 확인해주시면 되는데요~ 만약 냉각수의 양이 부족하다면 라디에이터 캡을 닫았을 때 넘치지 않을 정도로 보충해주시면 됩니다.
더불어 라디에이터의 연결 호수도 주기적으로 점검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손으로 눌렀을 때, 호스가 딱딱하다면 누수 등으로 연결 부위에 이상이 있는 상태이므로 정비소를 방문하여 점검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에어 필터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각종 불순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에어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지 않으면, 불순물로 인해 엔진 마모가 일어나고 엔진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죠.
먼저 에어필터 박스를 열어 에어 필터를 꺼내 상태를 확인해주시면 되는데요. 필터의 색상이 연한 회색인 경우 먼지를 가볍게 털어내는 등 청소 후 재사용해도 된답니다. 만약 필터에 먼지가 많이 끼어있다면 새 필터로 교체하는 것을 권해드려요.
지금까지 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엔진룸 셀프 점검 팁을 소개해드렸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을 참고하여 엔진룸을 점검해보시고, 안전 운전하세요.^^
더불어, 현대해상 하이카자동차보험과 함께라면 만약의 사고에도 안심할 수 있는데요! 드라이브 중 배터리 방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 시 현대해상 자동차보험은 365일, 24시간 고장 출동 서비스(해당 특약 가입 시)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그럼 오늘도 현대해상과 함께 안전 운전하세요~
준법감시필 20201202 (승인일 : 2020.02.13)
자동차 방향지시등! 언제 사용해야 할까? (0) | 2020.04.10 |
---|---|
자동차보험 갱신 예정이세요? 보험료 할인해주는 특약 체크! (0) | 2020.04.08 |
운전 왕초보를 위한 자동차 내부 버튼 총정리 (0) | 2020.03.13 |
초보 운전자 필독! 알아두어야 하는 주유 상식 (0) | 2020.02.19 |
안전운전을 위한! 자동차 사각지대 사고 예방법 (0) | 2020.01.31 |
귀성길 출발 전 확인! 터널 안전주행 방법 (0) | 2020.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