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Instagram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글

건조한 날씨 탓에 화재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겨울철! 더불어 난방 기구의 사용도 증가하기 때문에 화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죠. 화재를 대비하여 평소 점검해두어야 하는 4가지가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겨울철 화재 대비를 위한 안전 점검 사항 4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화재 초기 진압 시 가장 중요한, 소화기! 소화기가 고장나 위급한 상황에서 무용지물이 되지 않으려면 평소 주기적인 점검과 관리를 해야 하는데요~
먼저 육안으로 소화기가 파손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고, 안전핀이 제 위치에 있는지 살펴봐주세요. 또한 소화기의 제조일자를 확인하여 제조일자로부터 10년이 지났다면 폐기하거나 가급적 다른 소화기로 교체해주세요!
소화기는 직사광선이나 높은 온도, 습도를 피해 보관하는 것이 좋은데요. 더불어 화재 상황 시,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눈에 잘 띄는 곳에 비치하는 것이 좋으며 그 위치를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가정에서는 현관, 거실에 두는 것이 좋고 건물에서는 사무실 안, 복도에 비치해두는 것을 권해드려요.
또한 포말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등 다양한 소화기의 종류가 있는데요. 소화기 종류에 따라 보관방법, 주의사항 등이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건물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기만큼 초기 진압에 중요한 옥내소화전!
화재발생 시 신속한 사용을 위해 소방호스가 꼬이지 않고 잘 정리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더불어 옥내소화전 사용설명서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을 경우 건물주나 관리소에 문의해주세요. 평소 옥내소화전 사용 방법을 숙지해두는 것이 좋겠죠?
또한 겨울철 소화전 동파 예방을 위해 소화전을 잠그는 경우가 있는데요. 화재가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소화전을 잠그는 것은 금물이랍니다. 만약 동파가 걱정될 경우 헌 옷, 천 등으로 감싸는 것을 권해드려요~
앞서 다룬 소화기, 소화전과 함께 화재 초기 진압의 3종 세트 중 하나인 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설치되어 있어도 소홀한 관리로 인해 오작동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곤 하죠. 따라서 스프링클러 헤드(분사구)에 먼지 및 이물질이 끼어있지 않은지 확인해주세요.
또한 스프링클러 아래에 높은 가구가 배치되어 스프링클러를 막고 있지 않은지 점검하고, 만약 높은 가구가 배치되어 있다면 가구의 위치를 옮겨주세요.
가능하다면 전문업체를 통해 스프링클러 작동 여부, 화재감지, 물 공급 상태 등을 체크해보는 것이 가장 좋답니다!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중요한, 비상구와 방화문!
비상구의 경우 대피 유도등이 최대 밝기로 유지되고 있는지, 비상구 가까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방화문은 화염과 유독가스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화재 상황을 대비하여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비상구나 방화문 주변에 적치물을 쌓아둘 경우 대피를 방해할 수 있고 적치물에 불이 붙어 화재가 더욱 커질 수 있어요. 따라서 비상구, 방화문 주변에 적치물은 깨끗이 치워주세요~
더불어, 아래 링크를 통해 겨울철 화재 대피 요령에 대해서도 확인하실 수 답니다.^^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고해주세요.
먼저 PC, 난방용품, 가습기 등 전자제품의 전원과, 조명 스위치를 모두 껐는지 확인해주세요. 또한, 화재 위험이 있는 기기의 플러그는 뽑았는지 외출 전 체크해보세요.
더불어 현대해상 주택화재상해보험을 통해 만약의 화재에 대비하실 수 있는데요~
화재로 인한 우리집 실제 손해 및 임시거주비까지 보장 할 뿐만 아니라, 이웃집에 대한 배상책임까지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가족형으로 가입할 경우, 우리 가족 상해치료비도 한 번에 보장받을 수 있죠! 뿐만 아니라, 인터넷 가입 시에는 오프라인 대비 10% 저렴하게 가입하실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보세요.^^
>> 현대해상 주택화재상해보험 화재사고 보상 관련 Q&A 살펴보기 <<
지금까지 겨울철 화재 대비를 위한 점검 사항 4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을 참고하시어 현대해상과 함께 겨울철 화재를 예방해보세요.^^
준법감시필 20197187 (승인일 : 2019.11.25)
체온 조절과 장 디톡스로 면역력 향상시키기! (0) | 2019.12.11 |
---|---|
서구화된 식습관병! 장의 게실병 원인과 예방법 (0) | 2019.12.10 |
연말 송년회! 알아두면 좋은 숙취 완화법 (0) | 2019.12.09 |
연말연시 잦은 모임! 건강을 지키는 음주습관 (1) | 2019.11.29 |
치경부마모증 원인 확인하고 치아 통증 예방! (0) | 2019.11.27 |
안면신경마비, 환절기와 겨울철에 특히 조심! (0) | 201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