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_btn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꿀팁.zip/내 차 관리법
기름값 걱정 끝! 자동차 주유비 아끼는 꿀팁
2019. 6. 3. 08:00


휘발유, 경유 등 국내 기름값 급등이 계속되고 있는 요즘! 기름값이 오르는 만큼 운전자들의 부담도 더욱 커지게 되었죠. 어떻게 하면 기름값을 아낄 수 있을까 고민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자동차 주유비를 아낄 수 있는 꿀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자동차에 차량과 관계 없는 물건들을 가득 싣고 다니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가득 찬 트렁크를 비우는 것만으로도 주유비 절약에 큰 도움을 준답니다. 트렁크에 짐이 많을수록 주행 시 소요되는 연료가 많기 때문이죠.  10kg의 짐을 줄이면 약 5% 정도의 연비를 아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차량 내 불필요한 짐들을 최대한 줄여보세요.^^



가전제품과 마찬가지로 타이어에도 에너지 효율 등급이 있답니다. 타이어의 회전저항과 제동력을 기준으로 1~5등급까지 분류하여 타이어 에너지 효율 등급을 표시하고 있죠. 에너지 효율 등급이 1등급에 가까울 수록 연비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니 참고해보세요!


더불어, 다른 타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친환경 타이어도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데요. 친환경 타이어는 타이어의 회전저항을 감소시켜 차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주고, 연비 상승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니 이용해보는 것도 좋겠죠?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는 것 또한 주유비 절약에 도움을 주는데요~


타이어 공기압이 낮으면 도로와 타이어 마찰 부분이 넓어지게 됩니다.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면 연료 소모량이 더욱 커지게 되죠! 타이어 공기압이 30% 부족한 상태로 연 10,000km를 주행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50km마다 약 300원씩 낭비된다고 해요~


따라서 주유비 절약을 위해 타이어 공기압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적정 공기압을 유지해주세요.



가급적 기름 공급 시간대를 피해주세요! 주유소에 휘발유 수송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면 막 들어온 신선한 기름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그러나 기름 저장 탱크에 기름을 공급할 때, 저장 탱크에 남아 있던 기존 휘발유와 새로운 휘발유가 섞여 바닥에 있던 침전물이 올라오게 된답니다. 그 상태에서 바로 주유한다면, 불순물과 이물질이 함께 주유될 수 있겠죠. 차 내부에 불순물이 유입될 경우 연료 효율이 낮아지고 차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따라서 휘발유 수송 차량의 기름 공급 시간대는 피해서 주유하는 것이 좋답니다~



운전 습관을 고치는 것 만으로도 주유비를 절약할 수 있어요~


자동차 예열을 위해 몇 분간 시동을 키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 텐데요! 실제로 예열에 필요한 시간은 30초 정도라고 해요. 차량을 필요 이상의 공회전 상태로 둘 경우, 연료 소모만 늘어날 수 있으니 주행하지 않을 때에는 시동을 끄고 있는 것이 좋답니다.


뿐만 아니라 급출발, 급제동, 급정차, 과속하는 운전 습관은 순간적으로 많은 연료가 소모된다고 해요. 이와 같은 운전습관을 고치는 것만으로도 연료는 30%가량 아낄 수 있답니다. 주유비 절약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안전 운전을 위해서라도 고치는 것이 좋겠죠?



더불어 현대해상하이카 자동차보험의 커넥티드카 안전운전 할인 특약을 통해 안전운전습관 점수가 70점 이상일 경우, 자동차보험료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자동차보험료  5% 할인 받을 수 있는 안전운전 할인 특약 자세히 알아보기<<


지금까지 자동차 주유비 아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을 통해 자동차 주유비를 절약해보세요.^^



ㆍ보험계약 체결전에 반드시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ㆍ기존에 체결했던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계약을 체결시 인수가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으며 보장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ㆍ이 보험계약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한도는 본 보험회사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해약환급금 (또는 만기시 보험금이나 사고보험금)에 기타 지급금을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이며 5천만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하지 않습니다.(단, 보험계약자 및 보험료 납부자가 법인이면 보호하지 않습니다.)
ㆍ본 컨텐츠의 상품관련 내용은 추후 해당 상품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필 20193072 (승인일 :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