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Instagram
비상등은 다른 운전자들에게 나의 비상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주행 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호인데요~ 적절한 상황에 비상등을 사용하는 것이 아주 당연하다고는 잘 알고 있지만! 초보 운전자의 경우 비상상황에 당황해서 비상등 작동시키는 것을 깜빡하는 경우가 생기죠 뿐만 아니라 주행 경험이 부족할 경우 ‘이런 상황에도 비상등을 눌러야 하나?’ 긴가 민가 한 경우도 있겠죠!
오늘은 초보 운전자를 위해 상황 별 비상등 활용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
고속도로에서는 차량들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대처하기 비교적 어렵죠! 비상등을 켜지 않으면 뒤에 따라오는 차량들은 전방에서 급정거가 이루어지는지 인지하기 어렵답니다.
내 차에 이상이 발생하였거나, 사고가 발생하여 갑작스레 전방에 정체가 되고 있다면 뒤에 오는 운전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꼭 비상등을 켜주세요!
주행을 하다 보면, 도로에 모래나 자갈 또는 화물차 적재물 등의 장애물을 마주하곤 하는데요~ 뒤따라오는 차량에게 전방에 장애물을 주의하라는 의미로 비상등을 켜주기도 한답니다. 전방에 사고가 발생해서 주의해야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비상등을 통해 알려주기도 하죠!
폭우나 안개 등의 악천후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비상등을 꼭 사용해야 해요. 가시거리가 짧아 차량끼리 서로 발견하지 못해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답니다. 기상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꼭 비상등으로 내 위치를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하세요!
주행 시 갑자기 후진을 해야 할 경우, 비상등을 켜서 뒤에 차량에게 알려주어야 해요~ 전방으로 진행하고 있는 차량은 앞의 차량이 전진하는 것인지, 후진 하는 것인지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요.
또한, 주차를 할 경우에도 비상등을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보통 뒤에 차량에게 주차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해달라고 양해를 구하는 의미로 사용한답니다.
비상 상황 뿐만 아니라 비상등은 주행 시 상대 운전자에게 미안하거나 감사함을 표현하는 경우에도 쓰이곤 하는데요~ 부득이하게 차선을 변경하거나, 끼어들어야 할 때 비상등을 두세 번 정도 깜빡이며 매너 인사를 한답니다.
지금까지 비상등 사용이 어렵게 느껴지는 초보 운전자를 위해 상황 별 비상등 활용법을 소개해드렸는데요~
비상 상황 발생 시, 현대해상 자동차보험이 제공해 드리는 365일, 24시간 고장 출동 서비스 (해당 특약 가입 시)를 기억하시고, 적절하고 올바른 비상등 사용을 통해 안전 운전하세요!
카를 센스 있게 타는 방법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카센타 시리즈 확인하기]
준법감시필 201859847 (승인일 : 2018.08.30)
해외 렌트 초보자를 위한 꿀정보 모음! (0) | 2018.10.02 |
---|---|
단풍놀이 떠나기 전! 가을철 자동차 관리법 확인 (0) | 2018.10.01 |
귀성길 출발 전 체크! 고속도로 매너 운전 팁 (0) | 2018.09.20 |
안전운전을 도와주는 자동차 기술! (0) | 2018.08.29 |
운전자 시야확보를 위한 깨끗한 앞 유리 관리법 (0) | 2018.08.22 |
베테랑 운전자도 방심은 금물! 야간 운전 시 유의사항 (0) | 2018.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