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_btn

새롭게 추천하는 글

많이 본 인기

꿀팁.zip/내 차 관리법
베테랑 운전자도 방심은 금물! 야간 운전 시 유의사항
2018. 8. 17. 08:00


회사에서 일을 하다 보면, 아무래도 긴 휴가를 쓰기 어렵죠~ 그래서 많은 직장인들이 주말과 평일을 붙여 휴가를 나곤 하는데요! 바캉스철 주말에는 휴가를 떠나는 사람들로 붐비기 때문에 길이 굉장히 막히죠. 오늘은 차가 막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밤이나 새벽에 출발하시는 분들을 위해 야간 운전 시 유의사항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야간 운전 시에는 가시거리가 짧아지고, 마주 오는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때문에 낮에 운전하는 것보다 더욱 주의가 필요하죠.



야간 운전 시 전조등은 어두운 도로를 밝혀주는 것 뿐만 아니라, 내 차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도 하는데요! 도심을 벗어나 야간 운전을 할 경우 전조등의 역할은 더더욱 중요해집니다. 전조등을 통해 도로를 밝혀 주변 지형을 파악하여 장애물을 인지하여 운전해야 하죠. 오토 라이트 기능이 없는 차량의 경우 항상 전조등이 켜져 있는지 꼭 체크하여 운전해야 합니다


상향등의 경우 자동차 앞을 더 넓게 비춰주기 때문에 야간 주행 시 시야확보에 큰 도움을 주는데요~ 어두운 밤에 인적이 드문 곳에서 주행할 때 아주 유용하죠! 반면, 차량 통행량이 많은 곳에서는 상향등을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마주 오는 차량과 전방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 상향등을 사용하더라도, 마주 오는 차량이 있으면 잠시 상향등을 꺼주는 것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야간에는 시야가 매우 좁아지고, 인지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느리게 주행하며 주변의 장애물과 지형을 파악하게 되는데요. 느려진 인지속도로 인해 반응 속도도 함께 느려지게 되죠. 때문에 야간 주행 시에는 내 차가 어느 방향으로 주행할지 방향 지시등을 통해 빠르게 의사표현을 해야 합니다. 뒤에 오는 차량이 이를 인지하고 대처하여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죠!



실내가 너무 밝을 경우, 외의 빛에 대한 반응이 느려지게 되기 때문에 야간 주행 시에는 꼭 실내를 어둡게 유지해주세요. 실내가 밝으면 전면 유리에 차량 내부의 모습이 반사되어 시야 확보가 어려워진답니다. 특히, 외부 빛이 적은 야간의 고속도로나 시골의 외진 길을 주행하게 된다면 실내등은 꼭 끄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 주행 시에는 평소보다 룸미러의 각도를 올려 세워 주는 것이 좋습니다. 후면에 오는 차량의 상단 부분만 보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후방 차량의 전체가 보여질 경우 후방 차량이 내 차에 근접할 수록 눈부심이 발생하여 시야에 방해가 된답니다.


이외에도 야간에는 1차로를 피해서 주행하는 것이 좋은데요~ 야간에 1차로에서 주행할 경우 마주 오는 반대편 차량의 불빛으로 인해 시야가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야간 주행에서는 집중력이 더욱 요구되기 때문에 핸드폰을 하거나, 졸음이 오는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은 절대 삼가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야간 운전이 많아지는 바캉스철을 맞아 야간 운전 유의사항을 소개해드렸는데요. 현대해상과 더욱 안전하게 야간 운전 하세요. ^^


더불어현대해상 하이카자동차보험은 365, 24시간 고장 출동 서비스(해당 특약 가입 시)를 제공하고 있답니다현대해상이 소개해드린 야간 운전 시 유의사항을 잘 숙지하시고 늘 안전 운전하세요!


카를 센스 있게 타는 방법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카센타 시리즈 확인하기]


졸음운전 예방 꿀TIP 

초보운전자를 위한 계기판 상식 꿀TIP

접촉사고 사진 촬영 꿀TIP 

주행거리 별 자동차 관리 꿀TIP

새 차 증후군 예방하는 꿀TIP

- 자동차 열사방 예방하는 꿀TIP

- 장마철 와이퍼 관리하는 꿀TIP



ㆍ보험계약 체결전에 반드시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ㆍ기존에 체결했던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계약을 체결시 인수가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으며 보장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ㆍ이 보험계약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한도는 본 보험회사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해약환급금 (또는 만기시 보험금이나 사고보험금)에 기타 지급금을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이며 5천만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하지 않습니다.(단, 보험계약자 및 보험료 납부자가 법인이면 보호하지 않습니다.)
ㆍ본 컨텐츠의 상품관련 내용은 추후 해당 상품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필 20185869 (승인일 : 2018.08.03)